top of page
sub-3.jpg

Undergraduate

Studio

과제 대상

다양한 인문적, 지형적, 환경적 이슈를 도출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젝트를 선정한다. (해당 학기 담당 교수들과 상의하여 내용 구성) 대지 계획 및 친환경적 건축디자인과 이에 대한 건축도면 및 발표 자료 등 기술적 사항을 포함한 교육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Project 1. Memorial Design
대지조성 및 외부공간디자인 (Earth works & Landscape, 4 weeks)
Project2. Urban Agricultural Education Center
대지계획 및 친환경적 설계 (Sustainable architectural design, 12 weeks)




 

과제 목표

상이한 프로그램들이 집합적으로 구성되는 설계 과제를 통하여 건축 공간의 개별성과 통합성에 대한 실험과 창출되는 건축 형상의 논리적 전개를 습득한다.
프로그램의 해석 능력 및 건축적인 제안의 다양한 접근 능력
주어진 규모 내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복합적으로 구성하는 능력
공간 구성의 형상적 실험과 기능적인 공간의 이해력


다양한 건축 요소의 정확한 표현과 설계도면의 작성을 통하여 실질적인 기술의 집약체로서 건축물을 이해하고 해설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공간과 형상 구축의 구조적 해석 능력
설계도면을 통한 건축 언어의 습득과 작성 능력


특정대지의 자연적 조건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건축물과 주변 환경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아이디어와 친환경적 passive system을 고려한 설계 계획을 구상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대지의 자연적, 환경적, 기후적, 인공적 조건 등 주어진 설계조건을 파악하여 외부 공간을 포함한 대지조성 계획 능력
​지속 가능성을 토대로 적절한 시스템을 제시하고 설계에 통합하는 능력

과제 진행

Memorial Design (주제에 맞춰 대지를 조성하는 외부공간 스터디) : Short-term Project (4 weeks)
각자가 선정한 주제/테마의 추모공간(memorial space/structure)을 디자인한다. 주어진 대지의 환경을 활용하여 시각, 청각, 촉각 등 자연적인자극을 경험을 할 수 있는 감각적인 공간(Sensory Space)을 디자인한다. 자연이나 환경에 관한 시 또는 문구를 선정하여 그것의 의미를 해석한 서정적인 공간(Poetic Space)를 디자인한다.

DESIGN GUIDELINE
- 각자 선정한 테마를 건축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주어진 150m x 90m의 대지 모두를 활용하여 추모공원(memorial park) 전체를 계획(masterplan)하고, 선택한 30m x 30m 대지 영역에 맞추어 보다 세밀한 추모공간(memorial space)를 디자인한다.
- 빛과 공기, 물, 녹지 등 친환경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며, 선택된 자연적인 요소의 특성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도록 디자인하여야 한다. 대지의 경사와 지면 아래 공간을 활용한 절토와 성토를 계획하여, 입체적인 대지가 되도록 디자인하며, 전체적인 성토량과 절토량은 크게 차이 나지 않도록 계획한다.
- 가상의 대지이므로, 대지로의 접근은 어디에서 가능하며, 입구에서 목적지까지 다양한 동적공간과 정적공간을 디자인한다. (ex. 산책길, 휴식공간 등)
- 수목을 활용하여 조경계획이 이루어져야 하며, 대지에 바닥, 기둥, 벽, 지붕 등의 구축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계획하되, 열린공간으로 디자인한다. 즉, 외기가 통하는 외부 공간으로 계획하며, 닫혀진 실내공간은 지양한다..
PRODUCTIONS : 설계설명서 (등고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조감도/투시도 등), Model : Scale 1/50

그림1.jpg
그림2.jpg

도시농업 복합센터 (대지조성 및 환경친화적 건축물 설계 프로젝트) : Long-term Project (12 weeks)
OBJECTIVES : 자연 환경의 Context를 배경으로 선정된 부지 안에 친환경적인 이슈와 기술을 활용하여 대지를 조성하고 건축의 외부공간과 내부시설이 연계된 도시농업 복합센터를 설계하는 프로젝트이다. 교육 목표의 수행을 위하여 passive system을 적용한 건축물로 기획되었으며, 이는 한 건물 내에 구성되는 개별성(사적공간)과 공공성(공적공간)을 해석하고 또한 자연친화적인 건축적 제안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한 것이다. 건축물이 구형되기 위한 다양한 요소들, 즉 외부적인 환경과 내부적인 요구, 친환경적인 건축시스템, 다양한 공간의 구성과 연결성 그리고 프로그램의 작가적 해석에 따른 건축적 형상 및 기능성들이 연구되어져야 하며, 그것들에 대한 건축적 사고가 설계도면(건축적 언어)으로 표현되어져야 한다.
PROGRAM : 도시농업을 위한 교육 및 전시, 판매
SITE : 용산가족공원 내 일부(용산구 용산동6가 68-90 외 4 필지), 면적=33,076㎡
SIZE : 대지면적 33,076㎡, 연면적 4,000㎡±5% 이내, 4층 이하
PRODUCTIONS : 설계개념 및 환경설계 개념도, 배치도(축척 : 임의, 정북방향과 패널상단방향을 일치시킬 것), 각층 평면도(축척 : 임의), 입면도(2면 이상, 축척 : 임의), 단면도(2면 이상, 축척 : 임의), 전체 투시도, 부분 투시도, 기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도면 등

그림3.jpg
그림4.jpg

[Address]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 98 세종대학교 충무관 225호

[Contact]

행정, 학부, 대학원
02) 3408-3434

인증, 채용
, 홍보
02)3408-4351

drop box png logo.png

[출력실 dropbox]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