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pexels-todd-trapani-3790058.jpg

Archive

Selected Works

studio3(3학년) 우수상

Architectural Rack

박재민

인간의 창의성을 높이는 공간의 특징은 무엇인가? 창의적인 공간으로 대표되는 공간들의 특징은 높은층고, 불특정 다수와의 우연한 만남, 사람들간의 시선 교류, 여유있는 공간구성과 자연과의 교류등이 손꼽힌다. 이러한 공간을 선반처럼 세종관에 건물 외부와 내부로 돌출되는 캔틸레버 빔을 추가해 제공하고자 한다. 캔틸레버 지지체 위에는 조용히 휴식할 수 있는 테라스가 얹어지거나 외부계단같은 추가 동선이 결합되며 내부공간을 확장하기도 하는등 기존 세종관이 가진 대지의 장점은 부각하고 단점은 보완한다.
세종대학교 캠퍼스의 중심부에 위치한 세종관은 그 위치적 특성으로 인해 주변 맥락과의 관계맺기가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세종관은 주변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지 못한 채, 키가 큰 나무들로 가려놓은, 학생들이 기피하는 장소가 되어버렸다. 또한 세종대학교는 비슷한 인원규모를 가진 서울시내의 타대학들보다 부지면적이 절반가량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많은 인원들을 수용하기 위해 지어진 건물들은 자연스레 동간거리가 가까워지고 높이는 높아지게 되었으며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휴먼스케일에 맞지 않는 거대한 빌딩들로 둘러싸인 공간감을 제공하였다. 특히 세종관 북측으로 운동장 건너 위치한 대양 ai센터는 그 거대한 매스감으로 특징적이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세종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개인적 휴식공간을 제공하고자 하였고 건물의 네면에 각각 그 면과 맞닿아있는 캠퍼스의 공간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배치하였다.
남측에 존재하던 우거진 수풀들은 유닛화해 캔틸레버 구조체가 지지하는 건물입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옮겨심어 가려져있던 파사드를 노출시키고 다소 어수선하던 대지를 정리한다. 이러한 디자인으로 인해 사람들이 어느층에서든 조경을 통해 여과되는 창 밖 풍경을 느낄 수 있게 된다.

[Address]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 98 세종대학교 충무관 225호

[Contact]

행정, 학부, 대학원
02) 3408-3434

인증, 채용
, 홍보
02)3408-4351

drop box png logo.png

[출력실 dropbox]

bottom of page